database
DB - 샤딩(Sharding)과 파티셔닝(Partitioning)
codeManager
2022. 6. 16. 23:30
반응형
파티셔닝
performance, availability, maintainability를 목적으로 논리적인 데이터 엘리먼트들을 다수의 엔티티(table)로 쪼개는 행위
샤딩
수평 파티셔닝(horizontal partitioning)
같은 테이블을 여러 인스턴스에 나눠서 저장
예시) id 1~100은 1 번 샤드, 101~200은 2번 샤드
수직 파티셔닝 (vertical partitioning)
하나의 인스턴스에 여러 테이블에 나눠 데이터를 저장
예시) id, name, address 정보가 있을 때 id와 name 테이블, id와 address 테이블로 분리
샤딩의 장점
샤딩을 하면 쿼리를 여러 인스턴스로 분산해서 성능과 확장성을 얻을 수 있음
반응형